반복문 기본 문법은 아래와 같습니다.
for (let i = 0; i < 3; i = i + 1) {
console.log(i)
}
실제 반복문은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칩니다.
let i = 0;
if (i < 3) {
console.log(i);
i = i + 1;
}
if (i < 3) {
console.log(i);
i = i + 1;
}
if (i < 3) {
console.log(i);
i = i + 1;
}
// if (i < 3) {
// i가 3인 경우 부터, `i < 3` 이 false이기 때문에 작동하지 않습니다.
// console.log(i);
// i = i + 1;
// }
위 과정을 while로 바꾸기만 하면 for <-> while 간 전환은 어렵지 않습니다.
let i = 0;
// if 부분만 while로 바꾸면 됨
while (i < 3) {
console.log(i);
i = i + 1;
}
// 위 while문에 대응한 for문
for (let i = 0; i < 3; i += 1) {
console.log(i);
i = i + 1;
}
// for문과 while문이 헷갈릴 때,
// 이 두 형식을 아예 암기해버리면 편합니다.
// 기억이 잘 나지 않으면 잘 적어두고 필요할 때 마다 꺼내서 보세요
반복문은 조건문과 같이 쓰기 유용합니다. (Chapter5-3 복습)
반복문은 중첩이 가능합니다. (Chapter5-4 복습)
시트 참고
https://docs.google.com/spreadsheets/d/19TI13ccrdBz125M-ZA96Sgrq9WQTi962UzEehJGlrZs/edit?usp=sharing
이중 반복문은 이차원 행렬을 떠올리면 이해하기 쉽습니다. 가장 흔한 형태의 이차원 행렬은 구글 시트입니다. 구구단 2-5까지 결과로 구성한 이차원 행렬을 이중 반복문으로 출력해보겠습니다.
chrome://newtab - 21 April 2023
구글 시트로 기록하면서 문제를 풀면 어렵지 않게 이중 반복문을 활용하는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.